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 한번에 알아보기

반응형

도시가스 사용을 줄이면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글에서는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의 개념부터 신청방법, 확인 절차, 아파트 신청 조건, 신청 기간과 입금일, 환급까지 도시가스 캐시백에 대한 모든 정보를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에너지도 절약하고 혜택도 챙겨보세요!

도시가스-캐시백-제도
도시가스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

도시가스 캐시백은 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에너지 절약 인센티브 제도로, 전년도보다 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인 가구에게 현금성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2023년부터 시범 운영됐고, 현재는 전국으로의 확대를 목표로 점차 확대 시행 중입니다.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

정부 공식 플랫폼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 또는 "한국에너지공단 캐시백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돼요.

신청절차

  1.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 접속
  2. 회원가입 또는 공동인증서 로그인
  3.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메뉴 선택
  4. 주소지 및 도시가스 고객번호 입력
  5. 신청 완료 후 확인 문자 수신
    세대별 계량기가 설치된 주택이나 아파트만 신청 가능

캐시백 확인 방법

  1. K‑가스캐시백 공식 웹사이트 로그인
  2. 가스사용량 조회 또는 캐시백 지급안내 메뉴에서 전년도 대비 사용량 변화 및 예상 캐시백 금액을 확인
    ※ 사용량 비교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절감율이 정해진 기준(3~10% 감소) 이상이면 캐시백 지급 대상으로 선정!
절감율 할인금액
3~5% 3,000원
5~7% 5,000원
10% 이상 최대 10,000원 이상

※ 지급액은 월별 누적되며, 연말에 일괄 정산되는 방식

 

도시가스 캐시백 제외 대상

  1. 이사, 전출·전입, 명의 변경 등으로 인해 동일 고객식별번호로 비교 기간과 절감 기간의 사용량을 조회할 수 없는 경우
  2. 요금제 종류가 주택난방용 / 중앙난방용이 아닌 경우
    → 취사용/산업용/업무용 요금제 사용자
  3. 신청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른 경우
  4. 중앙난방 아파트에서 개별난방으로 전환된 세대
  5. 고객식별번호 입력 오류 또는 누락 → 신청은 가능하나, 캐시백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니 꼭 확인!

신청 기간

매년 특정 기간 동안만 신청 가능하며, 해당연도 11월 또는 12월 부터 신청받습니다. 사용량 기준평가는 11월~이듬해 3월까지 사용량을 기준으로 평가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024년도를 예로 캐시백 신청은 2023년 12월~2024년 1월 까지 진행하였으며, 2024년 3월까지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캐시백 입금일

캐시백 대상자가 확정된 이후, 약 2~3개월 이내에 이루어집니다. 지급은 개인 계좌로 현금 입금되며, 탄소중립 포인트로 적립하는 방식도 선택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11월 신청시 이듬해 1월까지 실적평가를 진행하며 3~4월경 입금되는 방식이에요.

지자체나 운영 기관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니 참고 바랄게요!

 

마무리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는 한마디로 정리해 "아끼면 돈으로 줄게"라는 정부의 복지 정책입니다. 특히 겨울철 난방비가 무섭게 올라가는 시기에 미리 대비하여 이런 꿀 같은 제도를 꼭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